과학교육론
[과학교육론] 3-9. 협동학습
노랑반숙
2021. 10. 2. 19:09
728x90
- 협동학습은 이질적 구성원들이 긍정적 상호의존성과 개별적 책무성을 지니는 모둠학습의 형태이다. →의사소통필요
1. 이론적 배경 : 비고츠키 - 사회적 구성주의
(1) 인간의 인지적 발달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2) 학습은 ZPD영역 내에서 이루어져야 잠재적 발달수준까지의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 때 교사는 비계를 설정하여 도움을 줌
(3) 사회적 상호의존성 : 공동체 인식 → 사회능력, 관계 발전, 자존감↑
- 결과의 상호의존성 – 목표, 보상: 다른 사람과의 협동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때 , 각 구성원이 공동의 과제를 수행 → 동일한 보상(모둠별로 같은 점수)을 받을 수 있을 때
- 수단의 상호의존성 – 과제, 자료, 역할: 집단구성원들이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제 분담, 정보·자원·자료 활용, 역할 분담
2. 전통적 소집단 학습 및 협동학습의 문제점
전통적 소집단 학습 및 협동학습의 문제점 | ||
상호 의존성 없음 개별적 책무성 없음 자신에 대해서만 책임 집단적 과정 없음 |
① 부익부 빈익빈 | 학습 능력이 높은 학습자가 더 많은 활동을 통해 소집단을 장악하는 현상 |
② 무임승객 효과 | 학습능력이 낮은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지 않고도 학습 능력이 높은 학습자의 성과를 공유하는 현상 | |
③ 봉 효과 |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가 자기의 노력이 다른 학습자에게 돌아갈까 봐 소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려는 현상 |
+ 집단 간 편파 현상, 사회적 태만, 자아존중감 손상
3. 협동학습의 요소(원리)
① 개별적 책무성 |
집단 목표의 성공적 성취를 위해 과제를 숙달해야 하는 책임이 학생 개개인에게 있다. 집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구성원들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이 맡은 부분을 분담하여 완수한다. 무임승객효과와 봉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
② 긍정적 상호의존성 |
집단의 성공을 위해 서로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자신뿐만 아니라 동료들도 성취할 수 있도록 서로 도움을 주어야 한다. |
③ 사회적 기술 | 의사소통 기능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서로 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학습해야 협동학습이 가능하다. 집단 구성원들이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면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켜야 한다. |
④ 대면적 상호작용 |
집단 목표의 성취를 위해 다른 구성원들과 얼굴을 맞대고 서로 격려하고 촉진시켜주어야 한다. |
⑤ 집단 과정 | 특정한 집단이 의도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집단 구성원의 노력과 행위에 대한 토론과 평가가 필요하다. 소집단 활동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하는 것. |
※주의 : 협동학습을 할 때, 역할분담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개별적 책무성을 가지기 어렵다. 긍정적 상호의존성이 없으면 노력과 참여를 하지 않는 학생이 발생한다.
4. 협동학습의 유형
(1) 직소 모형
직소Ⅰ | 절차 : 이질집단으로 소집단을 구성한 후 집단 구성원의 수에 맞게 학습과제를 소주제로 분할하여 할당 → 같은 과제를 맡은 학생끼리 전문가 집단을 형성한 후 학습[▶개별적 책무성, 긍정적 상호의존성] → 모집단으로 돌아와 학습한 내용을 구성원들에게 설명[▶개별적 책무성] → 개별시험(퀴즈)을 보고 개별로 성적을 처리해 개별보상 실시 집단보상이 없으므로 과제해결의 상호의존성은 높으나 보상의 상호의존성은 낮다. |
직소Ⅱ | 직소Ⅰ 모형에 집단보상(팀 점수)을 추가한 모형 + 단원전체 내용 개관을 해줌 개개인의 향상점수를 합산하여 팀 점수를 산정하고, 이를 토대로 개별 보상과 집단 보상을 제공(STAD 평가방식 도입) 집단보상으로 인해 집단 구성원들의 보상의 상호 의존성을 높일 수 있다. |
728x90
(2) STAD(학생성취분담모형)
특징 | 개인의 성취가 팀의 성취로 연결(분담)되도록 하여 협동학습을 촉진시키는 모형 팀별로 이질적 집단을 구성하여 과제를 공동학습 한 후 형성평가를 실시하고, 개인별 향상 점수를 계산하여 팀 점수를 산출하며, 이를 토대로 집단 보상을 제공한다. 학습목표가 뚜렷한 경우 개념이해나 탐구능력을 기르는데 유용하다. 집단보상으로 인해 집단 구성원들의 보상의 상호 의존성을 높일 수 있다. 모둠 내 협동, 모둠 간 경쟁 |
|
단계 | ① 학습 안내 | 교사가 주제제시, 간단한 설명, 새로운 단원의 전체 개요 안내 |
② 팀 구성, 팀 활동 | 이질집단(능력과 수준이 다른)으로 팀을 구성하여 교사가 제시한 주제를 함께 학습 ▶ 개별적 책무성(동료의 학습 확인, 이해 안되는 부분을 서로 도와줌) | |
③ 형성 평가 | 학습한 개념, 기능, 과정을 대상으로 개별 평가 | |
④ 개별 및 팀점수 공고 | 개개별로 향상된 점수를 확인 → 모둠 점수로 환산하여 모둠성취점수 계산 | |
⑤ 보상 | 우수한 개인에게 개인보상, 우수한 집단에게 집단 보상 개인별 향상 점수가 중요함을 강조 ▶ 개별적 책무성 |
(3) 모둠 조사(집단 조사), GI (2018 생물, 2013 지구과학 임용에서 출제)
특징 | 전체 학습과제를 주제별로 나누어 소집단별로 조사학습을 한 후 평가하는 방식 전체 학습과제를 주제별로 나누고 소집단별로 주제 제시 → 소집단별로 조사학습(다양한 정보 수집 및 결과 보고서 작성) → 소집단별로 결과 보고(전시, 구두보고, 비디오 상영 등) → 평가 과제 전문화가 나타남 → 특정주제에 대한 전문적 역량함양 모둠 내 협동, 모둠 간 협동 |
|
단계 | 모둠조직 집단별 주제선정 |
전체 학습과제를 주제별로 구분하고, 각 주제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을 모아 모둠을 구성한다. |
협동적 조사계획, 실행 | 각 모둠은 주제와 관련된 탐구의 목적, 조사 내용, 자료 수집 방법, 발표 방법에 대해 협의하여 계획하고 일을 분담한다. ▶개별적 책무성(분담된 자료수집, 협력) | |
자료 분석, 통합 | 계획에 따라 탐구를 수행한다. 다양한 방법으로 개인별로 분담된 자료를 수집하고 필요시 협력한다. 발표할 내용을 모둠별로 정리한다. ▶개별적 책무성(모둠별 정리) | |
발표 | 모둠별로 수집한 자료들에 대해 발표한다. 다른 모둠의 학생들이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말과 글, 그림, 기호 및 컴퓨터 등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개별적 책무성 |
|
평가 | 학생들은 모둠 내 구성원들의 모둠 활동 기여도를 평가하고, 교사는 그 결과를 개별 평가에 반영한다. 학습 내용에 관한 개별 평가와 모둠 평가를 실시하여 공지한다. ▶개별적 책무성(동료평가반영) |
(4) 자율적 협동학습(Co-op, Co-op)
특징 | 전체 과제를 소주제로 나누고, 같은 소주제를 선택한 학생들끼리 팀을 구성하여 팀별로 학습한 후 동료 및 교사에 의한 다면적 평가를 실시하는 모형 → 무임승객 효과, 봉효과 최소화 팀 구성원의 개인의 노력과 팀의 결과물을 다른 팀과 공유하여 학급 전체의 결과물을 산출하는 협동을 위한 협동에 초점을 둔다. 목적 : 학급이 정한 주제를 집단끼리 협력하여 학습하고 그 결과를 집단과 학급 전체가 공유 |
|
단계 | ① 학습 과제 선정, 팀 구성 | 학습과제를 소주제로 분류하고, 각자 하고 싶은 소주제를 선택 같은 소주제를 선택한 학생들끼리 팀 구성 |
② 팀 활동 | 소주제를 하위 미니주제로 분담 개별적으로 정보수집하고 개별 활동을 종합하여 팀 보고서 작성 후 학급 전체에 발표 |
|
③ 다면적 평가 | 팀 동료에 의한 팀 기여도 평가 교사에 의한 소주제 학습기여도 평가 전체 학급동료들에 의한 팀 보고서 평가 |
(5) 기타 다른 협동학습 모형
함께 학습하기 (LT) |
주어진 과제를 집단별로 공동으로 수행하고 보상도 집단별로 부여하는 방식 협동과제구조와 협동보상구조를 사용한다. 시험은 개별적으로 시행하나, 성적은 소속된 집단의 평균 점수를 받게 되므로 자기 집단 내 다른 학생의 성취 정도가 개인 성적에 영향을 준다. 한계 : 하나의 집단 보고서에 집단 보상을 함으로써 무임승차효과나 봉 효과가 나타나 다른 협동학습 모형에 비해 덜 효과적일 수 있다. |
팀보조 개별학습 (TAI) |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이 결합된 모형이다. 작업구조는 개별작업과 작업분담의 혼합구조이고, 보상구조도 개별 보상과 협동보상의 혼합 구조이다. 절차 : 프로그램화된 학습자료를 이용해 개별 진단검사를 실시한 후, 각자의 수준에 맞는 단원을 개별적으로 학습한다(개별학습). 과제 해결과정에서 곤란을 느낄 때 동료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한다(협동학습). 단원이 끝나면 그 단원의 최종적인 개별 시험을 보고, 이 개별시험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을 내고 이것을 팀 점수로 규정한다. 미리 설정해 놓은 팀 점수를 초과하면 팀이 보상을 받게 된다. |
팀경쟁 학습 (TGT) |
STAD와 유사하나 개인별 시험을 실시하지 않고 토너먼트식 퀴즈게임을 이용하여 각 팀 간의 경쟁을 유도하는 학습모형이다. → 집단 내 협력학습, 집단 간 경쟁학습 유도 공동작업구조이고 보상구조는 집단 내 협동과 집단 외 경쟁구조이다. 절차 : 이질 집단 구성 → 개별학습 후 팀원끼리 협력해 학습 마무리 → 팀별로 비슷한 수준의 학생들을 모아 토너먼트 퀴즈게임 → 매주 최우수팀 선정, 보상 |
5. 협동학습의 효과, 장점
인지적 | - 학업성취도 향상 : 집단 구성원 전체가 협력하여 학습하므로 혼자 학습할 때보다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 수행능력이 낮은 학생 : 자신보다 유능한 동료와 상호작용(ZPD 내 비계설정) → 잠재적 발달수준 효과적 도달. 협동학습은 하위권 학생에게 특히 효과적이다. - 수행능력이 높은 학생 : 학습내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학습내용의 정교화를 통해 학업성취가 향상 - 고등정신능력 향상 : 문제해결능력과 분석력 향상,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학습 과제에 대한 집중도 |
탐구적 | - 탐구능력 증진(혼자서는 해낼 수 없는 과제를 함께 해결함으로써 측정, 예측, 추리 등의 영역 성장) |
정의적 | - 자신감과 자존감 향상(모든 구성원들이 과제를 해낼 수 있다는 믿음)되어 학습 불안 해소 - 흥미와 호기심 증진, 의사소통능력이 향상, 공동체 인식 → 사회적 관계 기술 발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