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론
[과학교육론] 1-3. 과학적 탐구
노랑반숙
2021. 8. 17. 16:19
728x90
1. 과학 탐구의 분류 - 2015 개정 교육과정 : 탐구 과정(기초, 통합)과 기능(8 practices)을 구분함
탐구 | [1] 탐구과정 | ① 기초 탐구과정 | 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 의사소통 |
② 통합 탐구과정 | 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 자료 해석, 결론 도출, 일반화 | ||
[2] 기능 | ① 문제 인식 ② 탐구 설계와 수행 ③ 자료의 수집·분석 및 해석 ④ 수학적 사고와 컴퓨터 활용 ⑤ 모형의 개발과 사용 ⑥ 증거에 기초한 토론과 논증 ⑦ 결론 도출 및 평가 ⑧ 의사소통 |
||
[3] 탐구활동 | 토의, 실험, 조사, 견학, 과제연구 |
2. 기초 탐구과정
(1) 관찰 | 오감을 이용하여 사물, 현상, 사건 등에 관한 양적, 질적 정보를 획득하는 것 |
(2) 분류 | 장소, 사물, 관념 등의 기준에 따른 범주화 |
(3) 측정 | 양적 자료를 수집하는 활동 - 관찰의 정량화, 어림, 간단한 공식, 통계(평균)계산, 단위 붙이기 등 (예) 농도계산, 총합, 평균, 어림(o) 축척(x) * 전압계를 보니 바늘이 3.0V를 가리키고 있다 – 관찰 / 전압계로 재보니 3.0V이다 – 측정 |
(4) 예상 |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나 상관관계, 내삽, 외삽 등을 이용한 진술 - 관찰할 현상이나 사건에 대해 근거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 추측 |
(5) 추리 | 이미 내린 판단에 바탕을 두어 새로운 판단을 이끌어내는 사고 작용(자료를 이용해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 원인 제시) → 귀납, 연역, 가설-연역, 귀추 관찰, 측정, 분류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 관찰한 사건, 현상, 사물 등에 나타나는 규칙성을 기술하거나 그 원인을 설명하는 과정 |
(6) 의사소통 | 핵심역량 : 과학적 문제 해결 과정과 결과를 공동체 내에서 공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자신의 생각을 주장하고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며 조정하는 능력 사회적 구성주의 : 상호작용의 주요 방법으로, 학습자들이 특정한 문제에 대하여 자신의 접근을 설명하고, 다른 사람들의 설명을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서로의 의견에 대해 동의하거나 동의하지 않는 지 등을 표현하는 것 |
728x90
3. 통합 탐구과정
(1) 문제 인식 | 연구의 주제나 영역을 결정하여 진술하는 기능, 탐구 문제 알기 |
(2) 가설 설정 | 문제에 대한 잠정적인 답, 변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 잠정적인 답의 형식으로 진술하는 기능 좋은 가설이란?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모두 포함시켜 진술하는 것 |
(3) 변인 통제 | 조절 변인을 조절하면서 통제 변인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 독립변인 : 조작변인(계획적으로 조작)과 통제변인(일정하게 유지) 종속변인 : 조작변인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하는 변인 |
(4) 자료 해석 | 자료에 담긴 의미를 이해하고 그것을 자신의 말로 표현하는 기능 표나 그래프 등을 읽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과정으로 변화 양상, 경향성, 관계를 기술한다. 자료변환 : 원래의 자료를 표나 그래프, 그림 등 다른 형태로 나타내는 기능으로, 자료변환도 자료 해석에 포함됨 |
(5) 결론 도출 | 문제인식에 대한 답, 가설설정에 대한 답 |
(6) 일반화 | 여러 자료를 바탕으로 낸 결론들을 통합하여 포괄하여 낸 결론, 변인사이 관계에 대한 일반화는 법칙이나 원리로 불리기도 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