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과학 2

[과학교육론] 3-12. 기타 수업 전략

1. 질문법 (1) 질문의 종류 ① 응답 형태에 따른 분류 폐쇄적 질문 (수렴적 질문) 질문에 대한 대답의 수가 비교적 한정되어 있거나 토의의 끝 또는 결론에 이르게 하는 질문 학생들에게 특정한 대답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수렴적 성격을 띤다. 비판적 사고력 창의적 행동을 자극시키기 위한 수단으로는 비효과적 (예)단어 기억시키기, 배경지식 확인하기, 복습할 때, 정리할 때 개방적 질문 (발산적 질문) 대답의 수가 많은 질문 발산적 사고를 유도하는 질문 창의적이고 개인적인 답을 장려, 여러 가지 해답을 동시에 탐색할 것을 요구 (예)어떤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을까? 암석이 없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② 수준에 따른 질문 - 블룸의 행동목표에 따라 질문의 형태를 분류한다. 지식 : 기억하고 있는 구체적인 사실..

과학교육론 2021.10.07

[과학교육론] 1-2. 과학적 방법

1. 귀납법 : 구체적인 사례들로부터 규칙성을 찾아 일반적인 법칙을 도출해 내는 방법 (1) 철학 : 경험론 – 관찰과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경험적 사실로부터 과학 지식 형성 (2) 원리 : 많은 수의 A가 다양한 조건의 변화 아래서 관찰되었고, 관찰된 A가 모두 예외 없이 B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면 모든 A는 B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3) 장점 : 과학적 연구나 과학교육에서 유용 (4) 한계점 귀납 원리의 한계 : 전수 관찰을 한 것이 아니므로 결론의 진위가 어느 정도만 보장되지 결코 확증되지 못한다. → 후건긍정의 오류 관찰의 이론 의존성 흄의 문제 귀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방법은 귀납적 방법밖에 없다. 몇 개의 관찰 사실을 바탕으로 전체에 일반화할 수 없다. 관찰이 불가능한 추상적인 지식에는..

과학교육론 2021.08.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