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과학의본성 2

[과학교육론] 3-8. STS

1. STS 수업 : 사회적 이슈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을 강조하는 수업 (1) 목적 사회적 문제를 과학적,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인 양성 → 과학 개념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사회적 상황에 연계하여 사회적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할 수 있다. 사회적 쟁점을 도입하여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의사결정능력, 실천 능력, 가치판단능력 함양문제해결능력 -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방안 고안 (의사결정능력 - 다양한 여건을 고려하여 소음규제가 필요한 지역 선정, 결정/실천능력 - 소음 줄이기 캠페인/가치판단능력 - 다양한 해결책 중에서 더 가치 있는 판단을 선정) 윤리가치 과학의 본성 학습 - 과학·기술·사회의 상호관계를 올바르게 인식 (2) STS 수업 특징 학생 ..

과학교육론 2021.09.30

[과학교육론] 1-1. 과학 지식의 형성 과정과 특성

1. 과학 지식의 정의 (1) 전통적 인식론 : 과학지식은 과학자가 참이라고 믿는 것으로 절대 불변하는 진리이다. 철학 : 경험주의, 실증주의, 합리주의 과학지식은 신념, 진리, 증거로 구성된다. → 과학지식은 과학자가 참이라고 믿는 것이고(신념), 명제는 반드시 진리이며(진리), 또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당화된 것이다(증거). 과학지식은 불변, 객관적, 절대적이다. 과학은 관찰, 검증, 논리적 추리로 인해 형성된 합리적인 학문이다. 과학 이론의 변화는 누적적, 진화적으로 이루어진다. 과학적 방법 : 귀납법, 연역법, 가설연역법 (2) 현대 인식론 : 과학지식은 자연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회적 합의를 통해 구성된 설명체계이다. 철학 : 구성주의 과학은 사회적 변화와 학문 발달에 따라 함께 발달하는 비합리..

과학교육론 2021.08.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