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OE(PEOE) (1) 단계 : 예측→ (예측 이유 설명) → 관찰 → 설명 예측(P) - 교사가 실험 과정을 소개한다. 학생은 실험 결과를 예측하고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기록한다[▶ 귀추적 추론]. - 모둠별로 토의하고 가장 그럴듯한 예상과 그 이유를 학급 전체에 발표한다. 1. 인지적 영역 : 예상과 근거를 글로 표현 → 학생 자신의 생각을 분명하게 인식하여 선개념 명료화 2. 정의적 영역 : 직접 예상하고 실제 결과와 같을지 관심→ 호기심과 흥미 유발 3. 탐구적 영역 : 추리 능력 향상 관찰(O) - 학생들은 실험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기록한다. - 이 때 학생들은 자신의 예상과 다른 결과를 봄으로써 인지적 갈등이 유발된다. (C1↔R2) 포스너 – 불만족 설명(E) - 학생은 자신이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