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STS 수업 : 사회적 이슈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을 강조하는 수업
(1) 목적
- 사회적 문제를 과학적,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인 양성 → 과학 개념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사회적 상황에 연계하여 사회적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할 수 있다.
- 사회적 쟁점을 도입하여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의사결정능력, 실천 능력, 가치판단능력 함양문제해결능력 -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방안 고안
- (의사결정능력 - 다양한 여건을 고려하여 소음규제가 필요한 지역 선정, 결정/실천능력 - 소음 줄이기 캠페인/가치판단능력 - 다양한 해결책 중에서 더 가치 있는 판단을 선정)
- 윤리가치
- 과학의 본성 학습 - 과학·기술·사회의 상호관계를 올바르게 인식
(2) STS 수업 특징
- 학생 중심의 활동
- 실생활과 관련된 상황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선정한다. → 흥미증진
- 과학적 소양 증진
- 합리적 의사결정능력 함양 - 과학의 고유한 가치, 기술적,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가치들을 고려
- 협동학습 강조
- 다양한 자료 이용
728x90
(3) STS 교수학습 모형
문제로의 초대 | - 교사는 실생활과 관련된 상황을 중심으로 자료, 현상, 정보, 문제 등을 제시한다. - 학생들은 이에 대해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의문을 제기한다. → 탐구과정 : 문제인식 |
탐색 | - 문제에 관련된 다양한 과학의 이론이나 개념, 자료와 정보, 사례 등을 조사하고 수집한다. - 문제 해결 방안을 위한 조사 방법이나 실험 계획을 세우고, 조사 방법과 범위, 내용을 설정하고 (수행한다.) - 자료를 근거로 다른 학생과 토의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 교사 : 토론의 안내자 |
설명 및 해결방안 제시 |
- 문제에 포함된 과학적 개념을 정리하고, 수집한 정보와 실험 결과를 토대로 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한다. -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모둠의 구성원과 토의하고 그 결과를 발표한 뒤, 전체 모둠의 발표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방안을 종합적으로 살펴 가장 적절한 실천 방안, 의견을 결정한다. - 의사결정 능력 |
실행 | - 문제 해결 방안을 직접 실천에 옮기거나 관련 구성원들에게 알린다. - 핵심역량 :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 |
(4) 평가방법 : 수행평가, 토론, 보고서법, 체크리스트법, 관찰평가 등
평가 요소 | 평가 기준 | |
관찰 평가 | 지식 | 문제원인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
탐구 |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는가? | |
태도 | 모둠원과 서로 토의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였는가? |
반응형
'과학교육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교육론] 3-10. 모형 및 비유 활용 수업 (0) | 2021.10.04 |
---|---|
[과학교육론] 3-9. 협동학습 (0) | 2021.10.02 |
[과학교육론] 3-7. POE (0) | 2021.09.29 |
[과학교육론] 3-6. 로슨의 순환학습, 5E (4) | 2021.09.22 |
[과학교육론] 3-5. 인지갈등 - 파인즈와 웨스트의 포도덩굴모형, 하슈웨의 인지 갈등 모형, 드라이버의 개념변화 모형 (0) | 2021.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