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론

[과학교육론] 3-8. STS

화학짱이 2021. 9. 30. 23:13
728x90

1. STS 수업 : 사회적 이슈에 대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을 강조하는 수업

(1) 목적

  • 사회적 문제를 과학적,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인 양성 → 과학 개념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사회적 상황에 연계하여 사회적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할 수 있다.
  • 사회적 쟁점을 도입하여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의사결정능력, 실천 능력, 가치판단능력 함양문제해결능력 - 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방안 고안
  • (의사결정능력 - 다양한 여건을 고려하여 소음규제가 필요한 지역 선정, 결정/실천능력 - 소음 줄이기 캠페인/가치판단능력 - 다양한 해결책 중에서 더 가치 있는 판단을 선정)
  • 윤리가치
  • 과학의 본성 학습 - 과학·기술·사회의 상호관계를 올바르게 인식

 

(2) STS 수업 특징

  • 학생 중심의 활동
  • 실생활과 관련된 상황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선정한다. → 흥미증진
  • 과학적 소양 증진
  • 합리적 의사결정능력 함양 - 과학의 고유한 가치, 기술적, 사회적, 경제적, 윤리적 가치들을 고려
  • 협동학습 강조
  • 다양한 자료 이용
728x90

 

(3) STS 교수학습 모형

문제로의 초대 - 교사는 실생활과 관련된 상황을 중심으로 자료, 현상, 정보, 문제 등을 제시한다.
- 학생들은 이에 대해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의문을 제기한다. 탐구과정 : 문제인식
탐색 - 문제에 관련된 다양한 과학의 이론이나 개념, 자료와 정보, 사례 등을 조사하고 수집한다.
- 문제 해결 방안을 위한 조사 방법이나 실험 계획을 세우고, 조사 방법과 범위, 내용을 설정하고 (수행한다.)
- 자료를 근거로 다른 학생과 토의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 교사 : 토론의 안내자
설명 및
해결방안 제시
- 문제에 포함된 과학적 개념을 정리하고, 수집한 정보와 실험 결과를 토대로 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장단점을 분석한다.
-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모둠의 구성원과 토의하고 그 결과를 발표한 뒤, 전체 모둠의 발표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방안을 종합적으로 살펴 가장 적절한 실천 방안, 의견을 결정한다.
- 의사결정 능력
실행 - 문제 해결 방안을 직접 실천에 옮기거나 관련 구성원들에게 알린다.
- 핵심역량 :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능력

 

(4) 평가방법 : 수행평가, 토론, 보고서법, 체크리스트법, 관찰평가 등

평가 요소 평가 기준
관찰 평가 지식 문제원인을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가?
탐구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는가?
태도 모둠원과 서로 토의하는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였는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