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동료평가 2

[과학교육론] 4-4. 수행평가

1. 수행평가 (1) 수행평가 학생이 자신의 지식이나 기능을 산출물이나 행동 또는 답으로 나타내도록 요구하는 평가방식 학생이 학습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이나 결과를 보고, 그 학생의 지식, 기능, 태도 등을 전문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방식을 의미한다. (2) 특징 실제 상황에서의 수행능력을 평가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평가 과정과 결과를 모두 중시한다. 전체적이면서 지속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고등사고능력 측정이 가능하다. (3) 수행평가의 장단점 장점 단점 탐구기능을 적용할 기회 제공한다. 비판적으로 사고할 기회 증진한다. 학생들의 능력에 대한 근거 제공한다. 창의력 향상 기회를 제공한다. 과정과 결과의 평가가 가능하다.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고등사고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

과학교육론 2021.10.19

[과학교육론] 4-1. 과학교육 목표 및 평가 방법

1. 과학 교육 목표의 영역 및 범주 2. 수업 목표 진술 방식 (1) Tyler의 학습목표 진술 (명세적 수업목표) : 내용(학습내용) + 행동(도달점 행동, 명세적 동사로 표현) (2) Mager의 학습목표 진술 : 조건(상황, 기대조건) + 준거(수락한계, 수준, 기준) + 행동(도달점 행동) 3. 과학 교육 목표의 분류 (1) Bloom의 교육 목표 분류 인지적 영역 :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정의적 영역 : 수용, 반응, 가치화, 조직화, 인격화 (2) 클로퍼의 과학교육 목표 분류 체계 5. 평가의 방법의 종류 (1) 평가 방법에 따라 지필평가 선택형 문항(진위형, 선다형, 연결형), 서답형 문항(논술형, 단답형) 구두평가(폐쇄적 질문, 개방적 질문) 관찰법(개인별 체크리스트,..

과학교육론 2021.10.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