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브루너의발견학습 2

[과학교육론] 3-3. 발견학습

1. 발견학습 : 학습과제의 최종적 형태를 학습자 스스로 발견하는 것 (1) 브루너의 발견학습 학문의 개념이나 원리를 발견, 재발견 하는 과정을 학습자에게 직접 체험시킴으로써 지식의 구조를 학생들 스스로 발견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법 ▶ 귀납적 사고 강조 지식의 구조 : 학문을 이루고 있는 중요한 개념이나 원리, 법칙 등을 말한다. 지식의 구조는 경제성과 생산성이 높다. 지식의 표현방식을 달리하면 어떠한 인지발달단계에 있는 아동도 지식의 구조를 학습할 수 있다. 지식의 표현방식 : 작동적(시범실험), 영상적(그림 사진), 상징적(공식) (2) 발견학습 모형 : 탐색 및 문제파악 → 자료제시 및 관찰탐색 → 추가자료 제시 및 관찰탐색 → 규칙성 발견 및 개념정리 → 적용 및 응용 수업 단계 활동 탐구 과정..

과학교육론 2021.09.11

[과학교육론] 2-3. 브루너의 발견학습

- 브루너의 발견학습 : 브루너의 교수이론은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을 바탕으로 수업이론을 확립하고 이후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이론을 수용해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던 부분을 보충하였다. 브루너의 근본 아이디어는 대담한 가설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지식의 구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발견학습)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1. 브루너의 교수이론 (1) 대담한 가설 : 어떤 교과든지 지적으로 올바른 형식으로 표현하면 어떤 발달단계에 있는 어떤 아동에게도 효과적 으로 가르칠 수 있다. 기출) 학습 내용이 학생의 지적 수준에 맞는 형태로 표현되어 제공된다면 어떤 학생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 학자나 초등학생이나 모든 지적 활동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일의 종류는 동일하다. 차이가 있다면 일의..

과학교육론 2021.09.0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