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교육학 2

[과학교육론] 2-3. 브루너의 발견학습

- 브루너의 발견학습 : 브루너의 교수이론은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을 바탕으로 수업이론을 확립하고 이후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이론을 수용해 충분히 설명하지 못했던 부분을 보충하였다. 브루너의 근본 아이디어는 대담한 가설에서 시작하며, 여기서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지식의 구조),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발견학습)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1. 브루너의 교수이론 (1) 대담한 가설 : 어떤 교과든지 지적으로 올바른 형식으로 표현하면 어떤 발달단계에 있는 어떤 아동에게도 효과적 으로 가르칠 수 있다. 기출) 학습 내용이 학생의 지적 수준에 맞는 형태로 표현되어 제공된다면 어떤 학생도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 학자나 초등학생이나 모든 지적 활동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일의 종류는 동일하다. 차이가 있다면 일의..

과학교육론 2021.09.06

[과학교육론] 2-2. 비고츠키 -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구성주의: 비고츠키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인지발달이 일어난다고 설명한다. 특히 유능한 사람과의 상호작용은 학습 및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인지 발달 촉진 요소 :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 문화 1.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적 관점 (1) 학습자는 언어를 통한 사고와 반성으로 지식을 구성한다. (2) 과학 교수-학습에서 개념을 제시하는 수준은 학생의 현재 개념 수준보다 높으면서도 교사나 다른 학생의 도움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제시하는 것이 좋다. (3) 학업 성취 수준이 다른 학생으로 모둠을 구성하거나 토의하도록 한다. (4)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의 과학 학습은 학생과 학생 간, 학생과 교사 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한다. 2. 주요 개념 ..

과학교육론 2021.08.30
728x90